Leo의 기술 블로그

내 로컬에 있는 DB table을 Railway에 배포한 DB에 등록하기 본문

Backend

내 로컬에 있는 DB table을 Railway에 배포한 DB에 등록하기

LeoEngineer 2025. 4. 26. 16:04

AI를 이용해서 Railway에 내 로컬에 존재하는 table을 등록하고 싶었는데 제대로 알려주지 않아 헤맸었다. 이를 위해 약간의 고민과 공식문서를 보고 알아낸 방법에 대한 글이다.

 

 

일단 내가 생성해서 배포하고자 하는 DB를 선택해준다. 

필자의 경우 MySQL을 사용했다. 

 

 

생성 후 tab에 Variables와 Settings를 이용하려고 한다. 

일단 우리 로컬 터미널에 

 

mysqldump -u root -p memo_app > memo_app.sql

 

위에 명령어를 입력해 로컬에 존재하는 table의 백업 파일 즉 덤프 파일을 만든다. 

mysql -h 프록시주소 -P 포트번호 -u 유저이름 -p비밀번호 DB이름 < 로컬에서 생성한 덤프파일

 

위에 명령어를 입력해줘서 Railway에 배포한 DB에 우리 로컬 table을 올려줘야한다. 

위에 들어가는 변수들에 값을 하나하나 알아보자. 

 

배포한 DB에 Settings tab에 들어가 public networking을 확인한다. 아래 58278 포트 앞에 적힌 도메인 주소를 그대로 가져와서 명령어에 대입해준다. 

마찬가지로 포트번호도 위에 사진처럼 3306이 아닌 58278을 입력해준다.

 

 

그 다음에 Variables tab으로 간다. 

유저 이름은 MYSQLUSER 값을 넣어주면 된다.

비밀번호는 MYSQL_ROOT_PASSWORD 값을 가져와서 대입해준다. 참고로 -p에 붙혀서 그대로 넣어주면된다.

DB이름의 경우 MYSQLDATABASE 갑을 넣어주면 된다.

마지막에 로컬에서 넣어준 덤프 파일은 아까 생성해준 파일의 이름을 그대로 넣어주면된다. (확장자인 sql까지 포함)

 

 

위에 명령어가 성공했다면 위에처럼 Data tab에 내가 만든 테이블이 정상적으로 올라가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